자연에서 찾는 집먼지진드기박멸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집먼지진드기는 크기가 매우 작아 맨눈으로 식별하기 어려우며 주로 실내 침구류나 매트리스, 카펫, 소파 등의 섬유속에 주로 서식하지만 자연에서도 서식합니다. 자연에서는 다양한 천적에 의해 집먼지진드기의 개체수가 억제되어 생태계의 균형이 유지됩니다.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친환경적인 집먼지진드기의 천적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목차
1. 곤충류
주로 실내에서 서식하는 집먼지진드기지만 그 개체 수를 자연적으로 조절하는 천적들 중 포식성 곤충류가 있습니다.
1.1 집그리마
집그리마는 가늘고 긴 다리 15쌍을 가지고 있는 매우 민첩한 곤충입니다.
주로 거미류를 포함한 미소곤충을 포식합니다. 주로 숲의 덤불이나 지붕 밑, 얕은 동굴 속에서 서식하며 봄과 가을에 걸쳐 산란합니다. 갓 부화한 유충 집그리마는 다리가 4쌍이며 탈피를 거듭하면서 체절마디와 다리의 수가 늘어납니다. 천적에게 위협을 받으면 다리를
떼어내고 달아나지만 떨어진 부분은 다음 탈피 때 재생됩니다.
1.2 다듬이벌레류
다듬이벌레류는 먼지다듬이벌레, 책벌레로도 불리는 곤충입니다.
주로 곰팡이, 유기물, 작은 절지동물을 포식합니다.
집먼지진드기가 주로 서식하는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서식합니다.
1.3 지네류
지네는 다수의 다리를 가진 야행성 절지동물입니다.
주로 작은 절지동물, 집먼지진드기와 같은 미세한 생물을 포식합니다.
어둡고 습한 환경을 선호하여 지하실이나 욕실등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1.4 거미류
거미는 거미줄에 걸린 다양한 곤충과 작은 절지동물을 포획해서 섭취합니다.
일부 거미들은 집먼지진드기와 같은 작은 절지동물을 주로 포식하기 때문에 집먼지진드기의 개체 수를 자연적으로 조절합니다.
주로 어두운 구석이나 벽 틈새등에 거미줄을 치고 서식합니다.
2. 포식성 응애류
집먼지진드기의 주요 천적 중 포식성 응애가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농업 생태계에서 해충 관리에 크게 기여합니다.
2.1 포식성 응애의 종류
긴틸이리응애, 북방이리응애, 동양이리응애, 알락이리응애등이 있습니다.
- 긴틸이리응애:주로 사과나무 잎 뒷면에 서식하며, 수정낭의 경부길이와 강모의 길이가 짧으며 흉한 뒤쪽 가장자리가 직선인 특징이 있습니다.
- 북방이리응애:주로 사과원 주변의 잡초에서 서식합니다. 지표부근에서 활동성이 높으며 다양한 해충을 포식합니다.
- 동양이리응애:주로 사과나무 잎 뒷면에서 발견됩니다. 긴틸이리응애와 유사한 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지만 수정낭의 경부 길이와 강모의 길이도 긴 편입니다.
- 알락이리응애:사과원 주변의 잡초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지표부근에서의 활동성이 높으며, 농업 해충의 자연적 억제에 기여합니다.
2.2 포식성 응애의 먹이
집먼지진드기 외에도 잎응애류, 녹응애류, 총채벌레와 같은 다양한 해충을 먹이로 삼으며, 작은 곤충의 알 등을 포식하기도 합니다.
또한 포식성 응애는 곰팡이 포자, 꽃가루, 작은 선충등을 섭취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능력은 포식성응애가 환경변화에도 잘 적응하며 생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3. 기생성 선충
기생성 선충은 다양한 생물의 체내 도는 체표에 기생하면서 숙주의 영양분을 섭취하거나 조직을 손상하거나, 훼손시키며 살아가는 선형동물입니다.
3.1 기생성선충의 분류 및 특징
- 장내 기생충:숙주의 소화기관내에 서식하는 기생충으로 회충, 편충, 요충등이 있습니다.
- 조직 기생충:숙주의 조직이나 기관에 서식하는 기생충으로 사상충, 선무충이 있습니다.
3.2 기생성 선충의 성장단계
- 알 단계:성충이 산란한 알은 숙주의 체외로 배출된다.
- 유충단계:유충은 환경에서 발육하거나 중간 숙주를 감염시킵니다.
- 성충단계:유충이 최종 숙주에 도달하여 성숙한 후, 산란을 합니다.
3.3 기생성 선충의 생태적 역할
- 개체군 조절:숙주의 개체 수를 조절하여 생태적 균형을 유지합니다.
- 영양 순환:숙주의 사망 후 분해과정을 촉진하여 영양분을 순환시킵니다.
4. 곰팡이 및 미생물
집먼지진드기의 천적 중에 곰팡이와 미생물이 있으며 이들은 집먼지진드기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은 집먼지진드기의 개체 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향후 집먼지진드기 방제 전략에 유용한 정보가 됩니다.
4.1 곰팡이와 집먼지진드기의 상호작용
집먼지진드기는 주로 인간의 피부에서 떨어져 나오는 각질을 먹고살지만 곰팡이 포자도 섭취합니다.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곰팡이의 성장이 촉진되기 때문에 집먼지진드기의 먹이원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일부 곰팡이는 집먼지진드기의 알이나 유충에 기생하며 그들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푸른곰팡이 속 푸미가투 스는 집먼지진드기 알에 침투해서 부화를 하지 못하게 합니다.
4.2 세균과 집먼지진드기의 관계
집먼지진드기의 소화관내에는 다양한 세균들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세균은 집먼지진드기가 섭취한 먹이의 소화를 돕거나 비타민과 같은 필수 영양소를 합성시켜 그들이 살아가는데 기여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세균은 집먼지진드기의 소화 효소 생산을 촉진하여 섭취한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분해하여 영양흡수를 돕습니다.
그러나 천연 살충제 역할을 하는 튜링겐간균은 집먼지진드기의 소화관에 감염을 일으켜 개체수를 억제시킵니다.
4.3 바이러스와 집먼지진드기
집먼지진드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감염되므로 집먼지진드기의 생존과 번식이 억제됩니다.
특히 진드기 매개 바이러스는 집먼지진드기의 신경계를 손상시켜 운동능력을 저하시키고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집먼지진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먼지진드기와 실내 식물의 관계 (0) | 2025.02.14 |
---|---|
침구류 속 집먼지진드기와 미생물의 생태계 (0) | 2025.02.10 |
나노코팅 항진드기 침구의 실제 효과 (0) | 2025.02.06 |
집먼지진드기가 좋아하는 냄새와 싫어하는 냄새 (0) | 2025.02.06 |
집먼지진드기의 활동 패턴과 생존 전략 (0) | 2025.02.03 |
세계각국의 집먼지진드기 관리법 (0) | 2025.01.29 |
저온보관 방법으로 집먼지진드기 없애기 (0) | 2025.01.27 |
사랑하는 아이를 위한 놀이방 (0)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