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먼지진드기

여기에도 집먼지진드기가 서식한다고???

by new-dream-blog 2025. 1. 25.

집먼지진드기는 주로 침구류 카펫 소파 커튼등에서만 서식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생각지도 못한 곳 에어컨 필터 주변, 난방기구에서도 발견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장소는 온도와 습도가 적절하고 먼지와 유기물질이 축적되기 쉬워서 집먼지진드기의 서식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목차>

여기에도 집먼지진드기가 서식한다고???
에어컨

1. 난방기구 주변에서의 집먼지 진드기 서식

1) 난방기구 특성

  • 난방기구의 적절한 온도:난방기구는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집먼지진드기가 생존하고 번식하기 좋은 온도(20~25℃)를 제공합니다. 특히 중앙난방 시스템이나 라디에이터는 열이 고르게 전달되어 집먼지진드기의 활동을 촉진시킵니다.

2) 미세먼지와 유기물질의 축적

  • 난방기구 주변은 미세먼지와 각질, 섬유 조각 등 유기물질이 쌓이기 쉬운 곳입니다. 난방기구에서 방출되는 공기 흐름은 먼지를 이동시키지만, 그 일부는 난방기구 표면이나 주변에 축적됩니다. 이러한 먼지는 집먼지진드기의 주요 먹이원이 됩니다.

3) 건조한 공기의 상관관계

  • 난방기구는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를 건조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난방시스템중에 가습기능을 포함한 난방기구는 공기 중 습도를 높여서 집먼지진드기 서식을 간접적으로 돕습니다. 건조한 환경에서도 집먼지진기는 먼지와 유기물질이 축적되는 난방기구 근처의 좁은 틈새 같은 곳에서 서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에어컨 필터 주변에서의 집먼지진드기 서식

1) 에어컨 필터의 특성

  • 에어컨 필터는 공기 중에 있는 먼지, 꽃가루, 각질등 다양한 미립자를 포집합니다. 이러한 입자들은 집먼지진드기가 필요로 하는 영양분즉 유기물을 제공하기에 필터 표면에서 집먼지진드기가 서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습기의 역할

  • 에어컨은 냉각 과정에서 습기를 제거하지만 증발기 코일과 필터에 축적된 물방울은 일시적으로 습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기적으로 청소하지 않는 필터나 오래된 에어컨 시스템의 경우 이러한 습기가 유지되면서 집먼지진드기와 곰팡이의 서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3) 공기 흐름과 집먼지진드기의 확산

  • 에어컨은 강력한 공기 흐름을 만들기 때문에 집먼지진드기와 그 배설물을 실내 곳곳으로 확산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필터에서 서식하는 집먼지진드기나 그 잔해물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면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합니다.

3. 난방기구 및 에어컨 필터 주변의 집먼지진드기 서식 특징

  • 온도와 습도 조합:난방기구는 따뜻한 온도를 에어컨은 습한 환경을 일시적으로 제공하여 집먼지진드기의 생존 가능성을 높입니다.
  • 먼지와 유기물의 축적:난방기구와 에어컨 필터 주변은 먼지와 유기물질이 집중되는 장소로, 집먼지진드기의 먹이원을 풍부하게 제공합니다.
  • 청소의 어려움:난방기구 내부 틈새나 에어컨 필터는 접근이 어려워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집먼지진드기 번식지가 됩니다.

4. 난방기구 관리 예방 방법

  • 주기적인 먼지 제거:난방기구 주변을 진공청소기나 마른 천으로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먼지와 유기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합니다. 특히 난방기구의 공기 흡입구와 배출구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합니다.
  • 난방기구 필터 관리:필터가 포함된 난방기구는 필터를 정기적으로 세척하고, 교체를 해야 합니다.
  • 건조 환경유지:난방기구 사용 시 가습기 사용을 최소화해서 실내 습도를 50%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제습기를 사용하거나 환기를 통해 습도를 조절합니다.

5. 에어컨 필터 관리와 예방 방법

  • 정기적인 필터 청소:에어컨 필터는 2~3개월에 한 번씩 청소하거나 교체합니다. 특히 알레르기 환자나 애완동물이 있는 가정에서는 자주 교체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재사용이 가능한 필터의 경우, 부드러운 브러시나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먼지를 제거한 후, 미지근한 물에 중성 세제를 풀어 부드럽게 세척합니다. 세척 후에는 완전히 건조한 후 재장착하여 사용합니다.
  • 증발기 코일 청소:에어컨 내부 증발기 코일에서 먼지와 습기가 결합합니다. 전문가를 통해 연 1회 이상 청소하며 곰팡이나 집먼지진드기 서식을 방지합니다.
  • 응축수 배수로 점검:응축수 배수로가 막히면 물이 고여 습한 환경을 만들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배수로를 점검하고 청소합니다.
  • 공기 흐름 점검:에어컨을 사용하게 전에 필터와 내부를 점검하여 먼지와 집먼지진드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 공조 시스템 전체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덕트와 필터를 포함한 모든 부위를 청소하여 집먼지진드기와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6. 함께 관리하면 도움이 되는 것

  • HEPA필터 사용: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에 HEPA필터를 사용하면 집먼지진드기와 그 배설물 기타 미세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실내 공기 중의 먼지 농도와 습도를 모니터링하여 필요에 따라 공기청정기나 제습기를 가동합니다.
  • 가구 및 바닥 청소:HEPA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바닥과 가구의 먼지를 제거합니다. 이때 집먼지진드기와 그 배설물이 다시 공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침구류 관리:침구류는 60℃이상의 고온으로 주 1회 이상 세탁하여 집먼지진드기를 제거합니다. 세탁 후에는 햇빛에 정말건조하며 자외선으로 집먼지진드기를 추가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실내환기:하루에 최소 23회, 10~15분 동안 창문을 열어서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집먼지진드기가 좋아하는 습한 환경을 방지하고 먼지와 오염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이때 환기팬이나 공기 순환기를 사용하여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에어컨 필터나 난방기구 주변의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합니다.

환기와 제습기를 병행하여 사용하게 되면 환기를 통해 외부 공기를 들이면서 제습기로 습기를 제거하면 집먼지진드기의 서식환경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합니다.